Road Tunnels Manual
안전 활동과 관련된 기존터널의 업그레이드나 개보수는 운영적인 측면에서 해석과 방법에 대한 특별한 문제가 발생한다. 기존 터널의 공간이나 제한조건을 고려해야 하므로 새로운 터널에 비해 자유롭지 못하며, 각종 장비와 장비들의 통합은 특이해진다(범용성을 가지지 못한다).
공용중인 터널의 수리나 업그레이드는 종종 건설 기간과 비용의 증가를 가져오고, 작업중에 안전도가 감소하며, 교통량과 교통조건에 심각한 영향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런 단점은 터널의 실제 조건과 상황, 설비들과 주위 환경에 대한 불완전한 해석과 교통에 대한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한 전략과 절차의 부재로 만들어진 결과이다.
2.8절 기존터널의 안전도 평가와 개선은 기존 터널의 안전도 진단과 업그레이드 계획의 발전에 관련된 방법론을 제시한다. 4.9절 유지관리와 개보수 작업중의 운영은 공용중인 터널의 작업과 관련된 특정한 이슈들을 설명하고 있고, 이러한 성향은 위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음 절에서는 독자들이 유념해야할 주요사항들을 나타낸다.
터널의 자세하고 철저한 진단은 업그레이드나 수리의 필수적인 단계이다. 불행히도 이런 단계는 종종 무시된다.
터널의 물리적인 진단이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필요하다.
이런 물리적인 진단은 조직과 유지관리, 운영 절차 및 안전과 구조활동 조직과 관련된 모든 문서들의 특정한 진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단계에서의 진단은 터널이 수리 이전의 초기 상태보다 안전과 관련된 모든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조직들의 훈련과 관련된 활동을 요구하기도 한다.
진단은 터널의 실제 상태를 기초로 한 위험도 분석을 이루어져야 하며, 이 분석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목적으로 이루어 진다.
데이터 수집이나 전송, 자동 동작 기기 및 SCADA등 향후 업데이트될 설비가 현재 상태나 추정상의 작동 여건, 기술적인 호환성에 의해 개선이나 추가, 통합의 가능성이 있을 때 작업 기간중 위험을 뒤늦게 발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진단작업을 통해 확인되어야 한다.
수리 및 업그레이드 계획은 다음의 두 가지 단계로 진행된다
개발 계획은 다음의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터널의 물리적인 환경과 공간의 이용 가능성에 따라 기반시설과 장비의 적정한 수준의 최적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좀더 제한된 계획의 정의가 필요하다. 이런 제한된 계획은 개선 작업이 완료된 후의 국제적으로 통용가능한 수준의 안전도 구현을 보증하기 위해 축소된 측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계획의 검증에는 다음의 사항들이 필요하다.
업그레이드나 개선 계획은 물리적인 작업이 꼭 필요하지는 않다. 계획에는 다음과 같은 터널의 기능 개선이나 운영계획의 변경으로 구성된다.
설계의 이행 및 건설 단계에는 기술적이나 계약상의 특별조건 및 그 이행을 위한 수리 계획이나 업그레이드 계획의 변경을 포함된다.
이 단계에는 다음 사항에 대한 매우 자세한 해석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