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장은 다음의 두가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된다.
“복합 지하도로 네트워크”는 2012~2015년 회기 PIARC 소그룹 5에 의해 고려되어 왔다.
연구 계획은 다음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복합 지하도로 네트워크의 용어사전에는 다음의 터널들을 포함한다.
모든 구조물은 다음의 몇가지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사례연구의 목적은 전세계에 걸쳐 구조물의 형태를 규정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의 수집, 수집된 정보를 요약, 분석하여 터널의 소유자, 설계자 및 운영자에게 사전 권고사항을 정립하는 데 있다
이러한 정보의 수집이 빠뜨림 없이 완전하지도 않고, 요약된 자료가 과학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성되어 있지도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절하고 흥미있는 연구결과를 담고있다. 수집된 정보는 소그룹 5 멤버들이 속한 국가로 한정되어 있지만, 멤버들은 활동적으로 연락이 가능한 통신원들을 보유하고 있다.
일반적인 방법론의 다음과 같다.
600페이지가 넘는 상당한 양의 정보가 수집되었다. 그래서 모든 정보를 직접 출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WG는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27개의 “복합 터널”이 분석되었으며, 그 목록은 아래 1.7.2.5절과 같다. 몇몇 “복합구조물”은 두개나 네개의 터널로 구성되었으로 실질적으로 총 41개의 개별터널을 분석하였다.
구조물들의 지리적인 분포에 대한 분석은 아래 그래프와 같다.
예제 분석에서 유럽지역의 터널이 과다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특히, 칠레(산티아고), 호주(멜버른과 시드니) 그리고 대한민국의 두번째 프로젝트에 대한 조사는 불행히도 이번 보고서의 제출 기일까지 완료될 수 없었다. 상기 터널들은 향후 추가 조사가 고려되고 있는 독일, 중국, 일본, 싱가포르와 미국 등과 함께 다음 회기 동안 갱신될 예정이다.
주요정보는 다음의 사항들에 초점이 맞춰져서 분석되었다.
이 분석의 결과물로서, WG는 몇몇 예비 권고사항을 제시하였다. 이 권고사항들은 2016-2019 회기의 마지막에 발간될 보고서의 Part B에 자세한 내용이 추가로 작성될 것이다.
이들 예비 권고사항은 보고서 11장- 현재 상황, 논평과 예비 권고사항-에서 다음과 같은 측면을 다루고 있다.
지하 도로 네트워크는 주로 도시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설계(특히 터널들의 선형)에 몇몇 제약이 있다.
구불구불한 선형 곡선, 접속부와 출구부 근처의 불충분한 가시도, 불충분하게 정의된 합류 또는 분기 차선의 특징, 그리고 지상의 도로망과 접속되는 출구 램프 설계의 부족 등을 포함하여 교통사고를 종종 야기할 수 있는 기하구조 조건은 주된 터널의 정체 등으로 이어진다.
선형계획에 있어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는 것이 권장된다.
b - 대표단면
위에 언급된 조사에서 볼 수 있듯이, 분석대상 터널중 80%는 3.5톤(어떤 경우에는 12톤) 이상의 중량을 갖는 차량의 통행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터널 설계는 이러한 규제를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차로폭 뿐만 아니라 허용통과높이의 최적화를 재고하지 않았다.
최근의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 몇몇 조사에서 중차량 통행을 금지하여 터널 수직높이를 축소시킬 경우 상당한(최종 설계 특성에 따라20%~30%)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터널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초기단계에서는 터널의 ‘기능’, 교통조건(교통량과 차종구성비) 뿐만 아니라 재무적 타당성과 재원조달 방법에 대해 검토하고 분석하는 세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권장된다. 이러한 연구는 축소된 기하학적 특성을 갖는 단면의 장점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서비스 수준을 떨어뜨리지 않고 안전조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프로젝트의 재무적 최적화를 촉진할 수 있다.
c - 환기
지하 도로 네트워크는 대개 교통량이 많다. 교통혼잡이 빈번하며, 네트워크 내에 생기는 병목현상의 확률이 높으며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환기시스템은 예상 가능하거나 예상치 못한 위험의 분석을 통하여 개발되어야 하며, 병목현상을 고려해야 한다.
“순수한” 종류(縱流)식 환기시스템은 모든 안전요건을 충족시기기 적절한 유일한 방법이라고 보기 어려우며, 특히 교통지체 위치의 상류에서 발생한 화재 시나리오의 경우 위험하다. 종류식 환기시스템은 사고지점 하류의 화재연기 성층화 파괴를 유발하며, 이 경우 정지하거나 서행하고 있는 하류 차량의 모든 터널이용자가 위험하다.
현실적이거나 타당한 안전 개선대책이 효율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면, 화재연기 배출구를 추가하거나 횡류(橫流) 또는 반횡류 환기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다른 네트워크의 분기도로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도록 환기시설을 가동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화재사고 상황에서 연기의 확산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교통밀도가 높은 도심 통과 터널에서 위험물질 수송차량과 관련된 위험은 주의 깊게 분석되어야 한다. 도심 교통조건하에서 위험물로 인한 대형화재의 영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환기시스템은 없기 때문이다.
d - 소화활동(진화작업)
사고대응 팀이 현장 도착에 필요한 시간에 대하여는 정상시간과 피크시간의 교통조건을 고려하여 세부적인 분석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터널 입출구부에 화재 초기 진화에 필요한 설비나 자원의 설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도심지역에서 소방대원들의 이직률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며, 그들의 터널내 소화활동 경험은 상대적으로 드물다. 높은 이직률은 터널 소화활동에 전문적인 능력의 손실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사고대응팀에 대한 지속적인 전문교육과 훈련이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도로 네트워크의 3차원 가상 모델은 적절하고 사용자친화적이며 효과적인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e - 도로표지판
본선에서 분기되는 출구 램프의 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출구 램프의 가시성과 도로표지판의 가독성을 확보하는 것이 근본적 해결책이다.
분기점, 진출입 램프의 위치는 도로표지판의 컨셉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선형 연구로부터 분석되어야 한다.
f - 환경
공기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지역 공동체와 이해관계자, 그리고 거주민들은 터널공기가 외부로 방출되기 전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를 것을 종종 요구한다.
그 결과 대중의 압박에 의한 즉각적인 응답 차원에서 기술적이거나 합리적이지 못한 공기정화 장치의 설치가 결정되고는 한다. 이러한 이슈에 대하여 어떠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전에 다음과 같은 사항이 필수적이다
g – 교통조건 - 교통관리
출구 램프와 지상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도로는 실시간으로 교통감시와 교통관리가 가능한 방법으로 시설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설은 터널 내부의 교통정체를 감소시키며, 사고시 이용자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안전성을 개선한다.
물리적으로 연결된 터널들의 운영자들간의 협력체계는 일반적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공통적인 사고처리절차와 서로 다른 터널과 그 교통상황에서 우선순위 결정을 통해 명확한 상황정의와 각각의 운영자 역할이 가미된 협력체계의 개선이 (특히 교통정체시의 화재사고에서) 필수적이다.
아래 표에 열거된 바와 같이 각각의 터널 복합구조물에 대한 연구보고서가 작성되었다. 보고서들은 웹사이트 하단의 ‘멀티미디어 키트’에서 찾을 수 있다. 노란색으로 표시된 터널의 경우 곧 온라인으로 업데이트 될 예정이다.
대륙명 | 국가명 | 도시명 | 복합터널의 명칭 | 부록 번호 |
---|---|---|---|---|
아시아 | 중국 (CHN) | 창사(Changsha) | Yingpan Tunnel | 1-1 |
일본 (J) | 도쿄(Tokyo) | Chiyoda | 1-2 | |
Yamate | 1-3 | |||
대한민국 (ROK) | 서울(Seoul) | Shinlim-Bongchun and Shinlim-2 | 1-4 | |
유럽 | 오스트리아 (A) | 비엔나(Vienna) | Kaisermühlen | 2-1 |
벨기에 (B) | 브뤼셀(Brussels) | Leopold II | 2-2 | |
Belliard | 2-3 | |||
체코 (CZ) | 프라하(Prague) | Blanka Tunnel complex (3 tunnels) | 2-4 | |
Mrazovka and Strahov | 2-5 | |||
핀란드 (FIN) | 헬싱키(Helsinki) | KEHU - service tunnel | 2-6 | |
프랑스 (F) | 안시(Anney) | Courier | 2-7 | |
일드프랑스 (Ile-de-France) |
Duplex A 86 | 2-8 | ||
리온(Lyon) | Croix-Rousse (road tunnel + multimodal tunnel) | 2-9 | ||
파리 라데팡스 (Paris La Défense) |
A14 / A86 motorway interchange | 2-10 | ||
Voie des Bâtisseurs | 2-11 | |||
이탈리아 (I) |
발사시나(Valsassina) |
Valsassina tunnel | 2-12 | |
모나코 (MC) | 모나코(Monaco) | Sous le rocher tunnel (2 interconnected tunnels with “Y” form layouts) |
2-13 | |
노르웨이 (N) | 오슬로(Oslo) | Opera tunnel (chain of 4 tunnels) | 2-14 | |
트롬쇠(Tromsø) | 3 interconnected tunnels with roundabouts and access to parking lots |
2-15 | ||
스페인 (E) | 마드리드(Madrid) | M30 By-pass | 2-16 | |
M30 Rio | 2-17 | |||
스웨덴 (S) | 스톡홀롬(Stockholm) | Ring Road – Northern link | 2-18 | |
Ring Road – Southern link | 2-19 | |||
네덜란드 (NL) | 헤이그(The Hague) | Sijtwendetunnel (chain of 3 tunnels) | 2-20 | |
북아메리카 | 캐나다 / 퀘벡 (CDN) / (QC) | 몬트리올(Montreal) | Ville-Marie and Viger tunnels | 3-1 |
미국 | 보스턴(Boston) | Boston Central Artery | 3-2 | |
오세아니아 | 호주 (AUS) | 브리스번(Brisbane) | M7 Clem Jones Tunnel (CLEM7) | 4-1 |
“지하 도로 네트워크”는 “복합적인 시스템” 이다. 앞의 1.1장부터 1.5장까지 제시된 모든 권고사항들은 이에 해당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1장에서 언급된 특정 ‘부분집합’과 ‘매개변수’들은 지하도로망에 현저하게 잠재적인 영향을 미친다. ‘변수들간의 상호작용’(1.1.2.2절 참조)은 일반적으로 그리고 훨씬 더 확장되고 복합적이다.
앞의 장에서 언급된 몇몇 주요한 전략적 도전들과, 그들의 주된 상호작용과 아래의 부가적인 변수들은 터널의 설계, 건설 및 운영을 발달시키는 과정에서 면밀히 고려되어야 한다.
이 항목은 터널의 횡단면, 종단 선형, 교차로, 입출구 램프 등에 적용된다. 1.2.1절의 권고사항에 더해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a – 토지 점유
토지 점유는 야외(도로, 건물과 다양한 구조물, 공원과 보호구역 등)의 표면 점유와 지하공간의 용적 점유(지하철, 주차장, 다양한 도로망, 건물기초 등의 지하구조물)를 다룬다.
지하와 지상공간을 접속하는 여러가지 방법 : 환기탑, 입출구 램프, 대피통로 및 비상연결로 등
지하와 지상 점유에 있어 제약조건은 항상 주어진 장소에서 호환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지상의 구조물을 지하구조물과 분리할 필요가 종종 있다. 이러한 상황은 사갱 또는 터널 선형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는 수직갱과 연결되는 지하통로 등을 통해 해결 가능하다.
b - 지질학, 지질공학, 수리지질학
지질학, 지질공학, 수리지질학적 조건들은 횡단 및 종단 선형, 특히 지반안정 위험, 기존구조물 지하통과구간 건설 그리고 기존 지상 및 지하 구조물과 필요한 이격거리 등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고려하고 있는 건설공법과도 관련이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지하 교차로의 위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하수위 아래 푸석푸석한 흙 조건일 때 합류와 분기 지점의 램프를 만들기 위한 단면의 부분적 확폭시 지상에서부터 공사를 필요로 할 수 있다(대형 수직갱, 토지 처리 및 정리 등). 이러한 작업은 지상에 임시적인 점유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조건에서 지하 교차로의 위치는 지상의 부지 점유에 대해 고려하여야 한다.
c - 교통의 기능성
터널 선형의 기능성은 주로 지상(또는 다른 지하 구조물)의 도로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지역을 다룬다. 터널의 주출입구, 접속과 진출 램프, 교차로의 위치 및 설계는 이런 기능성에 영향을 받는다.
이 모든 연결로의 위치는 지하 네트워크의 교통량 뿐만 아니라 복수의 입출구와 연결된다. 연결로는 지상 도로 네트워크의 교통용량을 흡수하는 것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며, 지하 도로의 교통정체를 피하고 교통사고 및 심각한 터널 화재사고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연결로 설계를 조절하여야 한다.
d - 안전 - 사고의 위험
기존의 도로망에 대한 분석은 곡선 기하구조, 과도한 종단구배, 그리고 합류와 분류 램프 지역의 부족한 가시도 등의 지역에서의 사고
이 모든 요소들은 새로운 네트워크의 종단 및 횡단선형 설계의 초기단계에서 반듯이 주의깊게 고려되어야 한다.
e - 건설 공법 - 공기
건설 공법은 종단 및 횡단선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요소들은 지질학적, 지질공학적 그리고 수문지질학적 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 받는다.
건설 공법은 터널 입출구의 위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실드공법(니수식 실드 또는 진흙압력식 실드)의 사용은 터널굴착기계(TBM)의 조립뿐만 아니라 공사기간 동안(특히 슬러리 처리나 임시저장고)에 충분한 부지를 요구한다. 전형적인 굴착터널(토질조건이 허용할 때)은 터널 입출구 근처에 보다 적은 시설을 요구하며, 보다 적은 부지면적이 필요할 수 있다.
터널 중간에 공사용 접속점이 있는 경우의 예처럼 공사기간의 단축에 대한 분석은 종단 및 횡단 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 – 환경적인 조건들
네트워크의 운영시점에서 가장 주요한 요소는 공기질 및 소음 문제이다. 이런 문제들은 터널 입출구와 수직갱의 위치에 영향을 받는다. 이런 문제들은 환경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 수직구와 같은 추가적인 장비를 고려할 때, 반듯이 주의깊게 해석되어야 한다.
터널 입출구 및 필요한 임시 작업장의 위치는 환경문제로 인한 건설공법과 공기를 포함하여 분석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일반적인 건설공법은 TBM공법에 비하여 상당한 수준의 소음문제를 유발한다. 만약 터널의 입출구가 소음에 민감한 지역에 위치한다면, 공사는 야간시간대에 중지되어야만 할것이며, 이는 공기의 연장을 가져와 결과적으로 공사비의 증가를 가져올 것이다. 터널 입출구의 위치의 이동하거나, 선형을 변경하면 이런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1.2.2 절의 권고사항에 더하여 다음의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a – 교통의 양상 - 기능
1.7.2.4절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교통의 양상은 초기 조건에서부터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까지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많은 도심지 지하 네트워크는 비록 일반적인 차량의 통과높이와 차선폭(모든 종류의 차량이 통행 가능하도록 정의되어 있는)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있는 경우에도 중차량(서로 다른 조건에 따라 3.5톤에서 12톤까지)의 통행을 금지하고 있다
지하 네트워크의 “기능” 분석과 해당 기능의 진화에 대한 분석은 필수적이다. 이를 통하여 현재와 미래의 네트워크에 사용될 교통 특성에 적합한 수직 통과높이와 차선폭 같은 기하학적 특징의 선택을 통하여 대표단면의 최적화가 가능하다.
선택된 특성에 따라 20%~30%까지 건설 비용의 상당한 절감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수직 통과높이와 차선 폭을 가지는 터널에 비하여 발생된 이런 절감액은 프로젝트의 자금 조달이 가능케 하여 프로젝트가 실현 가능하게 한다.
b - 교통량
교통량은 본선 터널의 차선수 및 분기점, 진출입 램프의 정의할 때 고려되는 주요 요소이다.
교통량은 터널 입출구부의 합류 또는 분기 차선수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출구 램프와 지상 네트워크의 접속에 따른 혼잡 발생의 위험성 또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 결과적으로 본선 터널의 병목현상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주요 도로에서 출구 램프로의 분기되는 지점 상류의 교통흐름을 위한 병렬차선의 설계 및 확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c - 환기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환기 갤러리는 공간적 요구조건이 커지는 한가지 원인이 된다. 그러나, 초기 “위험물 및 위협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능적인 대표단면의 특성을 정의하기 전에 초기 환기설비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접근은 종종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d – 지질학 – 지반공학 – 수문 지질학 – 건설 공법
지질학, 수문 지질학, 지반공학적 조건 및 건설 공법(이런 요소들은 종종 상호 연결된다)은 대표단면의 모양 및 표면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다음 예시는 이런 상호작용을 설명한다.
지하수위 아래 푸석푸석한 흙 조건일 때, 본선 터널의 건설을 위하여 실드의 사용이 필요하다. 본선 터널은 원형 단면이 될 것이며, 대표단면은 다음과 같은 기능들에 영향을 받는다.
1.2.3절의 권고사항은 “지하 도로 네트워크”에 완전히 적용 가능하다. 분석적 접근법은 지하 네트워크의 복잡성과 다음과 같은 특정 요소들에 의해 악화되는 영향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a - 교통
교통량은 일반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며, 많은 교통량에 의해 교통 정체는 빈번히 발생된다. 이런 현상은 터널 내 사고시 대피해야하는 사람들의 증가함을 의미하고, 터널내 대피객의 증가는 매우 중요해진다.
램프의 합류 및 분류 구역은 사고 발생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지점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의 시작 시점에서 교통 장애는 매우 세심한 주의를 가지고 분석되었다고 가정해보자. 병목현상의 발생에 대한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지하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교통량의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이런 현상은 교통량의 관점에서보면 사회기반시설 용량의 상당한 저하를 가져올 수 있고 이런 이유가 사회기반시설을 건설하는 사유가 된다. 교통 용량 확보를 위하여 추가 시간대에는 진입 교통량을 줄이거나 심지어 없애려는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네트워크가 교통 장애에 대한 초기 가정이 무시된체 설계되면(특히 사고시 안전이나 환기시의 개념에서) 병목현상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거나 병목현상이 되풀이하여 발생된다.
b - 비상 대피 - 비상 탈출로
분석에는 다음의 요소들이 영향을 미친다.
c - 환기
환기시스템의 개념과 설계에는 다음의 요소들이 영향을 미친다.
d – 이용객과의 통신
터널 네트워크 내의 수많은 연결로를 통틀어 터널 이용객과의 적절한 통신을 제공해야 한다. 통신시스템은 화재시 운영적인 요구에 의하여 다른 연결로들 간에 차별하된 방법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용객들은 특별한 표지판이나 특정 색을 이용한 보드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자신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교차로나 램프등에는 방향 표시판 및 우선순위 정보 표지판의 설치를 신호등과의 가시거리 및 신호등의 가독성등을 고려하여 세심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e – 운영 요구조건
1.2.3.6절과 같은 특정한 운영 요구조건은 네트워크의 복잡성, 교통량, 특정 교통량 조건하에서 대처을 성공적으로 하기위한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복잡성등이 적합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1.2.4절의 권고사항은 “지하 도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다. 반대로, 1.7.3장에서 언급한 지하 도로 네트워크의 복잡성과 추가적인 요구과 조건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협력적인 관계에 있거나 서로 연관된 네트워크의 운영자들 간에는 교통 관리나 화재시의 안전, 이용객들의 대피, 화재사고시 응급대응 기관들의 반응과 대처 등 특정한 상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바탕으로한 연결체계가 필요하다.
제어 센터는 네트워크들과 분산된 운영자들간의 연결체계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 공통 정보의 전달 및 하나의 제어 센터에서 다른 센터로의 임시적인 지휘체계가 수립 가능하여야 한다. 제어 센터들의 네트워크 구조와 그들의 최종 성능, 방법의 설계에는 조직들, 책임체계, 도전과 위험에 대한 전체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 분석에는 평상시와 비상 시나리오에 대한 모든 상황에 대한 반영이 필요하고, 네트워크의 서로 다른 세부 조직들의 상세 대응 및 그들 제어센터들의 상대적인 책임등에 대한 상세한 검토가 필요하다.